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철도청 승차권 예매 방법
    간단

    '철도청 승차권 예매'는 PC에서는 '레츠코레일' 사이트에서, 스마트폰에서는 '코레일톡' 앱을 통해서 간단하게 할 수 있어요. 출발역, 도착역, 날짜, 인원만 선택하면 바로 가능한 열차를 조회하고 좌석까지 지정해서 결제할 수 있거든요.

     

    철도청 승차권 예매 방법

     

    PC에서 철도청 승차권 예매를 하시려면 포털에서 '레츠코레일'을 검색해서 접속하시는 게 가장 빨라요. 이게 공식 명칭이거든요. 예전에는 '철도청'이라고 불렀지만 지금은 '코레일'이고, 예매 사이트 이름은 '레츠코레일'이에요.

     

    메인 화면 왼쪽을 보시면 바로 '승차권간편예매' 창이 보일 거예요. 여기서 출발역과 도착역, 가는 날짜와 인원수를 바로 선택하고 예매를 시작할 수 있답니다.

    레츠코레일 메인 화면 승차권 간편 예매 창

     

    출발역이나 도착역 칸 옆에 있는 '돋보기' 버튼을 누르면 역을 선택하는 팝업창이 떠요. 여기서 직접 역 이름을 검색하거나, '주요역' 탭에서 KTX가 서는 큰 역들을 바로 고를 수도 있어서 편하더라고요.

     

    '가나다순' 탭을 누르면 전국 모든 역이 목록으로 나오니까, 혹시라도 검색이 잘 안되는 작은 역을 찾을 때 유용하게 쓸 수 있어요.

    레츠코레일 출발역 도착역 선택 팝업창

     

    이게 바로 '가나다순'으로 정렬된 전체 역 목록이에요. 스크롤을 내려서 찾아도 되고, 왼쪽 '주요역' 탭을 눌러서 서울, 부산, 대전, 광주송정 같은 큰 역들을 빠르게 선택할 수도 있어요.

     

    원하는 역을 찾아서 클릭하면 팝업창이 닫히고 자동으로 출발역(또는 도착역) 칸에 입력이 돼요.

    전국 기차역 가나다순 목록

     

    사실 돋보기 버튼 누르는 것보다 이게 더 편할 수도 있어요. 그냥 출발역 칸에 '광명'처럼 역 이름의 일부만 입력해도 아래에 관련된 역 이름이 자동으로 뜨거든요.

     

    예를 들어 '광'만 쳐도 '광명', '광주송정' 등이 나오니까, 거기서 원하는 역을 클릭하면 바로 입력돼요. 역 이름을 정확히 알면 이 방법이 훨씬 빠르더라고요.

    기차역 이름 직접 검색 기능

     

    역 선택이 끝났으면 이제 출발 날짜를 선택해야죠. 날짜 입력 칸 옆에 있는 달력 아이콘을 클릭하면 달력이 팝업으로 떠요.

     

    여기서 원하는 날짜를 클릭하면 되는데, 기차표는 보통 출발 1개월 전부터 예매가 가능해요. 설이나 추석 같은 명절에는 예매 일정이 따로 공지되니까 그건 꼭 확인하셔야 돼요.

    레츠코레일 출발 날짜 선택 달력

     

    날짜 다음은 출발 시간을 고를 차례예요. 이것도 은근히 중요한 팁인데, 시간을 '00'시로 설정해두는 게 좋아요.

     

    그래야 그날 운행하는 첫차부터 막차까지 모든 시간대의 기차표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거든요. 만약 오후 3시로 설정하면, 그 이전 시간대 열차는 아예 목록에 안 나와서 놓칠 수 있어요.

    출발 시각 00시로 선택

     

    마지막으로 '인원 정보'에서 같이 가는 사람 수를 선택해 주세요. '어른'이 기본 1명으로 되어 있는데, 만 6세~12세 어린이나 만 65세 이상 경로 우대 대상이 있다면 각각 인원수를 맞춰서 설정하셔야 돼요.

     

    할인 대상인데 깜빡하고 '어른'으로 예매하면 할인을 못 받으니까 꼭 챙기시는 게 좋아요. 모든 정보를 다 입력했으면 '승차권 예매' 버튼을 눌러주세요.

    승차권 예매 인원 정보 선택

     

    '승차권 예매' 버튼을 누르면 이렇게 안내 팝업이 뜰 때가 있어요. 이건 제가 '광명역'을 선택해서 뜨는 건데, 광명역에 도심공항터미널이 있다는 안내네요.

     

    출발/도착역에 특별한 공지사항이나 안내 사항이 있을 때 보여주는 거라, 한 번쯤 읽어보고 '닫기'를 누르시면 돼요.

    광명역 도심공항터미널 이용 안내 팝업

     

    자, 이제 열차 종류를 선택하는 화면이에요. KTX/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 원하는 열차 종류만 골라서 조회할 수 있어요.

     

    딱히 정해둔 게 없다면 그냥 '전체'로 놓고 조회하는 게 편하더라고요. 그래야 시간대별로 가장 빠른 기차가 뭔지, 혹은 저렴한 기차가 뭔지 비교해 볼 수 있으니까요.

    열차 종류 선택 (KTX, ITX, 무궁화)

     

    '전체'로 조회했더니 이렇게 KTX, 무궁화호 등 모든 열차의 시간표가 쭉 나와요. 출발 시간, 도착 시간, 그리고 '좌석' 유무를 바로 확인할 수 있죠.

     

    여기서 '예약가능'이라고 파란색 버튼이 보이면 바로 예매할 수 있는 거고요, '매진'이라고 뜨면 아쉽지만 다른 시간을 알아봐야 해요. '운임요금' 아래 '조회'를 누르면 가격도 미리 볼 수 있어요.

    열차 시간표 및 좌석 현황 조회 목록

     

    '운임요금 조회'를 누르면 이렇게 특실, 일반실, 입석/자유석 가격이 따로 나와요. 어른, 어린이, 경로 대상별로 요금이 다른 것도 한눈에 볼 수 있죠.

     

    KTX 특실은 일반실보다 확실히 비싸지만, 물도 주고 좌석도 넓어서 편하긴 하더라고요. 무궁화호 같은 경우는 입석도 있으니, 정말 급할 땐 입석이라도 끊어야 할 때가 있어요.

    열차 종류별 운임 요금 조회 (특실, 일반실, 입석)

     

    원하는 시간대 열차를 찾았으면 '예약가능' 아래에 있는 '좌석선택' 버튼을 누르시는 걸 추천해요. 그냥 '예약하기'를 누르면 시스템이 아무 좌석이나 임의로 배정해 주거든요.

     

    내가 원하는 창가 자리나, 순방향 자리를 직접 고르려면 반드시 '좌석선택'을 눌러야 돼요. 이거 모르고 그냥 예매했다가 역방향 걸리면 꽤 불편하더라고요.

    열차 시간표 목록에서 좌석선택 버튼 클릭

     

    '좌석선택'을 누르면 이렇게 열차 호차별로 좌석 배치도가 나와요. 회색으로 표시된 곳은 이미 예매된 자리고, 파란색으로 표시된 좌석이 내가 선택할 수 있는 빈자리예요.

     

    KTX의 경우 화살표 방향을 보고 순방향/역방향을 꼭 확인하시는 게 좋아요. 저도 역방향은 멀미가 나서 싫더라고요. 원하는 좌석을 클릭하고 '선택'을 누르면 돼요.

    기차 호차별 좌석 배치도 및 좌석 선택 화면

     

    좌석까지 다 선택하면 이제 결제만 남았어요. 코레일 회원이시라면 '로그인'을 하시면 되고, 비회원으로 진행하시려면 '미등록고객예매'를 클릭하시면 돼요.

     

    비회원으로 예매할 경우, 나중에 예매 내역을 확인하거나 취소할 때 필요한 정보를 입력해야 하니, 전화번호나 비밀번호를 정확하게 입력하는 게 중요해요.

    로그인 또는 미등록고객예매 선택 화면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