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옥편 한자 찾기 방법
    간단

    모르는 한자가 있을 때 옥편 한자 찾기 방법은 크게 네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부수로 찾는 방법, 한자의 음을 알 때 쓰는 음으로 찾는 방법, 총 획수를 세어 찾는 방법, 그리고 특정 모양이 포함된 글자를 찾는 모양자 검색입니다. 최근에는 직접 그려서 찾거나 사진을 찍어 검색하는 편리한 기능도 많이 활용됩니다.

     

    온라인 옥편의 기본 기능

     

    요즘은 종이 옥편 대신 네이버 한자사전과 같은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면 훨씬 간편하게 한자를 찾을 수 있습니다. 화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전통적인 옥편 한자 찾기 방법인 부수, 음, 총획수, 모양자별 검색 기능을 모두 제공하여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디지털 방식은 종이 사전을 넘기는 수고를 덜어줄 뿐만 아니라, 훨씬 빠르고 정확하게 원하는 정보를 얻게 해줍니다. 각 기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온라인 한자사전의 옥편처럼 찾기 기능 화면. 부수, 음, 총획수, 모양자 탭이 보입니다.

     

    부수(部首)로 한자 찾기

     

    한자를 찾는 가장 전통적이고 기본적인 방법은 바로 부수(部首)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부수는 한자의 의미를 나타내는 핵심적인 부분으로, 모든 한자는 고유의 부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찾으려는 한자의 부수를 알고 있다면, 해당 부수의 획수를 선택하고 목록에서 나머지 부분의 획수를 기준으로 글자를 찾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氵(삼수변)'이 부수인 한자를 찾는다면, 부수 3획을 선택한 뒤 나머지 획수를 추가로 선택하여 검색 범위를 좁혀 나가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부수를 정확히 알 때 가장 효과적입니다.

    부수 5획에 해당하는 한자 목록을 보여주는 검색 결과 화면.

     

    음(音)으로 한자 찾기

     

    찾으려는 한자의 모양은 모르지만 소리, 즉 음(音)을 알고 있을 때 매우 유용한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가'라는 소리를 가진 한자를 찾고 싶다면, 음으로 찾기에서 자음 'ㄱ'을 선택하고 '가'를 클릭하면 됩니다.

     

    그러면 '家(집 가)', '價(값 가)', '假(거짓 가)' 등 '가'로 읽히는 모든 한자의 목록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뜻(훈)을 비교하며 내가 찾던 글자가 맞는지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alt":"음으로 찾기 기능에서 '가'를 선택했을 때 나타나는 다양한 한자 목록."}

     

    총획수(總劃數)로 한자 찾기

     

    부수나 음을 전혀 모를 때 시도해 볼 수 있는 방법은 총획수로 찾는 것입니다. 한자를 구성하는 모든 획의 개수를 직접 세어서 해당 획수를 선택하면, 그 획수를 가진 모든 한자들이 나열됩니다. 복잡한 한자일수록 후보가 적어져 찾기 쉬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획수를 정확하게 세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특히 흘림체나 복잡한 글자는 획수를 잘못 세기 쉬워 전혀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초심자에게는 다소 까다로울 수 있는 방법입니다.

    {"alt":"총획수 52획에 해당하는 '우렛소리 병' 한자를 검색한 결과 화면."}

     

    모양자(模樣字)로 한자 찾기

     

    모양자 찾기는 온라인 사전의 편리한 기능 중 하나로, 한자에 포함된 특정 모양을 선택하여 검색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찾고자 하는 한자에 '木(나무 목)'과 '口(입 구)'가 모두 포함된 것을 안다면, 모양자 목록에서 이 두 글자를 선택하여 검색 결과를 좁힐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전통 옥편에는 없는 디지털 검색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글자 전체를 모르더라도 일부 특징적인 모양만으로 후보를 추려낼 수 있어 매우 효율적입니다.

    {"alt":"모양자 찾기 기능에서 특정 모양을 두 개 선택하여 한자를 검색하는 화면."}

     

    필기 인식으로 찾기 (가장 쉬운 방법)

     

    지금까지 소개한 방법들이 복잡하게 느껴진다면, 필기 인식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마우스나 손가락으로 모르는 한자를 직접 그려서 찾는 방식으로, 한자에 대한 사전 지식이 전혀 없어도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글자를 비슷하게 그리기만 하면 AI가 유사한 모양의 한자들을 추천해 주기 때문에 초심자에게는 이 방법이 가장 직관적이고 편리합니다. 또한 스마트폰 카메라로 한자를 찍어 검색하는 기능도 있어, 간판이나 책에 있는 한자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alt":"필기 입력창에 '흙 토'를 직접 그려서 한자를 찾는 모습."}

     

    정확한 훈과 음을 알고 있다면 검색창에 '흙 토'처럼 직접 입력하여 찾는 것이 가장 빠릅니다. 이처럼 온라인 사전은 다양한 상황에 맞춰 여러 가지 검색 방법을 제공하므로, 가장 편한 방식을 선택하여 활용하면 됩니다.

     

    디지털 시대에 맞게 진화한 한자사전 덕분에 이제는 낯선 한자를 만나도 더 이상 두렵지 않습니다. 여러 기능을 시험해보며 자신에게 맞는 옥편 한자 찾기 방법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alt":"한자의 훈과 음인 '흙 토'를 직접 검색창에 입력하여 찾는 방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