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다음 초시계 바로가기
    간단

    오복은 장수를 뜻하는 수(壽), 재물을 이루는 부(富), 몸과 마음의 평안을 나타내는 강녕(康寧), 덕을 쌓아 남과 나를 함께 돕는 유호덕(有好德), 생의 끝을 담담히 맞이하는 고종명(考終命)으로 요약됩니다. 오늘날에는 치아처럼 일상 기능을 책임지는 세부 건강과 정신적 안정까지 포함해 신체·정신의 조화를 이룬 웰빙을 복된 삶의 기준으로 삼습니다.

     

    신체 오복이란, 건강 오복이란

     

    1. 공식 자료는 다음백과에서 찾으세요
    다음 포털이 운영하는 다음백과는 서경·국어사전 등 권위 있는 출전을 모아둡니다. 화면 오른쪽 검색창에 ‘오복’을 입력하면 장수·부·강녕·유호덕·고종명 정의와 출전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사전마다 달라지는 오복 정의 비교
    검색 결과 페이지에는 국어대사전, 우리말샘, 한국학중앙연구원 자료가 나란히 표시됩니다. 각각 뉘앙스가 조금씩 달라 예를 들어 우리말샘은 ‘몸이 건강하고 마음이 편안함’을, 국어대사전은 ‘몸이 편안하고 재물이 많음’을 먼저 언급하니 비교하며 읽어보세요.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가 제시한 정통 해석
    이 백과는 『서경』 홍범편을 원전으로 삼아 오복을 수·부·강녕·유호덕·고종명으로 규정합니다. 원문 출전을 확인할 수 있어 학술 인용에도 적합하니 논문이나 리포트를 준비하실 때 꼭 활용해 보세요.

     

     

    4. 『서경』 홍범편에서 읽는 오복의 뿌리
    홍범편은 주나라 문왕의 가르침을 기록한 장으로, 오복을 ‘백성을 위한 다섯 가지 큰 은혜’로 설명합니다. 장수와 부가 먼저 언급되고, 강녕·유호덕·고종명이 뒤따르는데 이는 삶의 순서를 반영한 배열입니다.

     

     

    5. 민간에서 변형된 ‘귀’와 ‘자손중다’ 개념
    후대 통속편에서는 유호덕 대신 귀(貴·사회적 지위), 고종명 대신 자손중다가 포함됩니다. 사회 구조가 가문 중심으로 바뀌면서 덕보다 신분과 자손 번성이 중시된 결과라는 해석이 많습니다.

     

     

    6. 위키백과로 빠르게 훑어보기
    시간이 없다면 위키백과의 요약 문단도 도움이 됩니다. 다만 학술 근거가 아닌 2차 정리 자료이므로, 최종 확인은 반드시 1·3번과 같은 1차 출전을 통해 검증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7. 다섯 복을 기억하는 가장 쉬운 방법
    ‘수·부·강·덕·명’의 앞 글자를 반복해서 읽어보세요. 장수·재물·건강·덕행·잘 마무리된 죽음이라는 흐름이 자연스레 외워집니다. 치아 건강처럼 현대적 복을 추가할 땐 ‘강’에 포함해 신체 전반을 챙기는 식으로 확장하면 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